
제주도 내국인 관광객 유치, 관광시장 활성화 위한 4대 핵심사업 추진, 관광객 감소 대응책 마련
제주도가 최근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내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해 대국민 여행 지원금을 지급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에 나선다.
제주도는 10일 발표를 통해 제주관광혁신비상대책위원회가 지난 7일 1차 회의를 열고 ▲대국민 여행 지원금 지급 ▲제주형 관광물가지수 도입 ▲대도시 팝업 이벤트 개최 ▲제주 여행주간 운영 등 4대 핵심사업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제주를 방문하는 내국인 관광객 수가 감소한 데 따른 조치로, 관광 활성화를 통해 지역 경제를 회복시키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다.

대국민 여행 지원금 지급… ‘탐나는전’ 활용
가장 주목할 만한 정책은 대국민 여행 지원금 지급이다. 제주도는 이달 중으로 ‘제주와의 약속’ 캠페인과 연계해 지역화폐인 ‘탐나는전’ 지류 지급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제주를 찾는 내국인 관광객들이 숙박비, 음식비, 체험비 등을 지원받아 보다 경제적으로 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하반기에는 ‘디지털 관광도민증’을 도입해 여행지원금 지급 뿐만 아니라 관광지 할인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관광객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고 제주 방문을 독려할 방침이다.
대도시 팝업 이벤트 개최… 전국에서 제주 홍보
제주도는 또한 대도시에서 팝업 이벤트를 개최해 제주 관광의 매력을 알릴 계획이다.
서울(2월), 여주(5월), 부산(6월) 등에서 제주관광 대전과 체험 행사를 개최하며, 이를 통해 제주 여행의 장점을 적극 홍보한다는 전략.
향후 행사 개최 지역을 특례시 및 도 지역으로 확대해 보다 많은 국민들에게 제주 관광을 알릴 계획이다.

제주 여행주간 운영… 비수기 관광 활성화
여행 비수기인 3월, 6월, 11월에는 관광 활성화를 위해 ‘제주 여행주간’이 운영된다.
이 기간 동안 다양한 할인 혜택과 특별 이벤트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관광객 유입을 늘리고 지역 상권을 활성화하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비수기에도 관광객들이 제주를 찾을 수 있도록 매력적인 프로모션과 행사들을 준비하고 있다”며 “관광업계와 협력해 다양한 이벤트를 기획할 것”이라고 전했다.

제주형 관광물가지수 도입… 합리적인 여행환경 조성
제주도는 또한 관광객 소비 패턴을 반영한 ‘제주형 관광물가지수’도 도입할 계획이다.
이 지수를 활용해 관광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 올바른 관광 물가 형성을 위한 계도 및 홍보활동을 전개한다.
최근 제주에서 불거진 바가지 요금 논란을 해결하고, 관광객들이 합리적인 가격으로 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의도다.
제주도는 “관광객들이 부담 없이 제주를 방문할 수 있도록 물가 안정 대책을 마련하고 지속적으로 점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제주 관광객 감소 원인 분석… 해결책 마련 시급
한편, 지난해 제주를 방문한 내국인 관광객 수는 1187만 명으로, 2023년(1266만 명) 대비 6.2% 감소했다.
이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12.4% 줄어든 수치로, 관광업계에서는 비계 삼겹살과 바가지 논란 등의 부정적인 이미지 확산, 국내 정치적 혼란, 국내선 항공편 좌석 수 감소 등이 원인으로 분석하고 있다.
제주도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광업계와 협력하여 다양한 개선책을 마련하고, 보다 나은 관광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