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제약사들이 비만치료제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모습을 상징적으로 나타냈다. ※AI 제작 이미지
중국 토종 비만치료제 이노벤트 글로벌 경쟁 – 중국 제약 강자 이노벤트, 자체 비만치료제 ‘신얼메이’로 시장 흔들다
글로벌 비만치료제 시장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중국 내 토종 제약사 이노벤트 바이오로직스(Innovent Biologics)가 자체 개발 비만치료제 ‘신얼메이(Xinermei)’를 앞세워 시장에 파란을 일으키고 있다. 이는 오랫동안 시장을 지배해온 덴마크의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와 미국의 일라이 릴리(Eli Lilly)의 아성에 정면 도전하는 양상이다. 특히 중국 비만치료제 시장은 거대한 잠재력과 함께 가격 및 유통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돼, 이노벤트의 전략과 글로벌 제약사들의 대응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로이터 통신은 2025년 9월 23일 보도를 통해 이노벤트가 최근 비만치료제를 중국 시장에 출시하며 노보 노디스크와 일라이 릴리에 이어 세 번째로 중요한 경쟁자로 부상했다고 밝혔다. 이와 같은 중국 현지 기업의 약진은 전 세계 제약업계에 중대한 변화를 예고하며, 글로벌 기업들의 전략 수정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 시장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현지 소비자의 니즈에 맞춘 이노벤트의 행보는 향후 비만치료제 시장의 판도를 뒤흔들 핵심 요소로 지목된다. 이에 따라 중국 내 비만치료제 시장의 경쟁 구도와 미래 전망을 면밀히 살펴본다.

중국 제약 강자 이노벤트, 자체 비만치료제 ‘신얼메이’로 시장 흔들다
중국의 이노벤트 바이오로직스는 2025년 7월, 주 1회 투여하는 GLP-1 계열 비만치료제 ‘신얼메이’를 자국 시장에 공식 출시하며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이 약물은 중국 내 비만 및 과체중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하며, 노보 노디스크의 ‘위고비(Wegovy)’와 일라이 릴리의 ‘마운자로(Mounjaro)’가 선점하고 있던 시장에 강력한 도전장을 내밀었다.
이노벤트의 최고 재무 책임자 레이첼 유(Rachel You)는 신얼메이 출시와 관련해 중국 사회의 체중 관리 인식 개선에 중점을 둘 것이라고 밝혔다. 그녀는 또한 이 약물이 간 지방 감소에 효과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단순한 체중 감량을 넘어선 포괄적인 건강 개선 효과를 부각하는 마케팅 전략을 펼칠 계획임을 시사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중국 소비자들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트렌드와 맞물려 긍정적인 반응을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 현지 기업으로서 이노벤트는 자국민의 건강 및 미용 관련 관심사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제품 마케팅에 효과적으로 접목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는 글로벌 제약사들과 차별화되는 중요한 경쟁 우위로 작용할 수 있다.
비만 치료, 위소매절제술 vs 마운자로·위고비: 비용, 효과, 요요까지! 당신의 최적 선택은?
가격 경쟁력과 현지 맞춤 전략으로 글로벌 기업 압박
신얼메이는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도 노보 노디스크와 일라이 릴리의 제품들을 압박하고 있다. 4개 펜 기준으로 2,920위안(약 411달러)에 판매되는 신얼메이는 노보 노디스크의 위고비 월 약 400달러, 일라이 릴리의 마운자로 월 약 900달러와 직접적으로 경쟁하는 가격대를 형성했다. 특히 마운자로와 비교했을 때 절반 이하의 가격으로 중국 소비자들에게 더욱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가능성이 높다.
덴마크 코펜하겐에 위치한 단스케 은행(Danske Bank) 관계자는 중국 기업들이 외국 기업 대비 중국 소비자들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 브랜드 마케팅에서 뛰어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을 언급했다. 이러한 현지화 강점은 외국 기업과의 경쟁에서 중국 토종 기업들이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주요 요인으로 지목된다. 이노벤트는 이러한 현지 맞춤 전략을 통해 단순한 가격 경쟁을 넘어, 중국 문화와 소비자 심리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신얼메이’의 가파른 성장세 예상: 수치로 본 시장 전망
투자 정보 데이터 기업 모닝스타는 이노벤트의 신얼메이가 올해 2025년에 약 6억 위안(약 8,440만 달러)의 매출액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더욱 놀라운 점은 2029년에는 최고 매출액인 35억 위안(약 4억 9,165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는 사실이다. 이는 신얼메이가 중국 시장에서 단기간 내에 폭발적인 성장을 이룰 잠재력을 가졌음을 시사한다.
한편, 노보 노디스크의 위고비는 2025년 약 22억 덴마크 크로네(약 3억 4,600만 달러)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추산되며, 2026년에는 30% 이상 추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라이 릴리의 중국 내 비만치료제 매출은 아직 공개된 바가 없어 정확한 추산이 어려운 상황이다. 글로벌 시장에서의 위고비의 강력한 입지에도 불구하고, 중국 시장에서 신얼메이가 예상보다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확보한다면 노보 노디스크의 중국 내 성장세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러한 수치들은 중국 비만치료제 시장이 단순한 성장세를 넘어, 경쟁이 심화되는 격변의 시기에 접어들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국민의료보험 부재에도 유통 채널 다각화 승부수
신얼메이가 고가의 약물임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국민의료보험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은 초기 시장 진입에 있어 중요한 도전 과제이다. 그러나 이노벤트는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판매 채널을 적극적으로 확대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노벤트는 중국의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JD.COM과 같은 온라인 채널을 비롯해, 소매 약국, 병원 및 진료소 등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유통망을 다각화할 방침이다.
이는 중국의 넓은 영토와 다양한 소비자층을 효과적으로 공략하기 위한 필수적인 전략으로 풀이된다. 특히 온라인 플랫폼은 젊은 세대와 도시 거주자들에게 접근성을 높이는 중요한 수단이며, 오프라인 병원 및 약국은 의료 전문가의 상담과 처방을 통해 신뢰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옴니채널(Omni-channel) 전략은 국민의료보험의 부재로 인한 가격 부담을 상쇄하고, 더 많은 소비자들에게 신얼메이를 노출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노벤트의 유통 전략은 중국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한 현지화된 접근 방식의 모범 사례로 평가될 수 있다.
특허 만료 임박, 제네릭 출시 예고된 중국 비만약 시장의 미래
중국 비만치료제 시장의 경쟁은 이노벤트의 신얼메이 출시로 끝나는 것이 아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제네릭 의약품의 등장이 또 다른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노보 노디스크의 위고비 활성 성분인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에 대한 특허가 2026년에 만료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빠르면 2026년 또는 2027년에 중국에서 제네릭 세마글루타이드가 출시될 가능성이 높다.
맥쿼리 캐피털의 아시아 헬스케어 책임자는 제네릭 제품의 출시에 직면하여 세마글루타이드의 독주가 계속될지는 불확실하다고 분석했다. 이미 CSPC Pharmaceutical Group과 Hangzhou Jiuyuan Genetic Biopharmaceutical과 같은 여러 중국 제약사들이 자체적인 비만치료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중국 비만치료제 시장이 향후 더욱 치열한 경쟁 환경에 직면할 것임을 시사한다. 특허 만료와 새로운 제네릭의 등장은 시장에 저가형 치료제를 공급하여 전체 시장 규모를 확대하는 동시에, 기존 오리지널 의약품의 점유율과 수익성에 압박을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노벤트뿐만 아니라 노보 노디스크, 일라이 릴리 등 모든 참여자들이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맞춰 끊임없이 전략을 재조정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글로벌 제약 시장의 변화 촉진하는 중국 토종 기업의 약진
이노벤트 바이오로직스의 ‘신얼메이’ 출시는 중국 비만치료제 시장의 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노보 노디스크와 일라이 릴리와 같은 글로벌 거대 제약사들은 중국 시장에서 강력한 현지화 전략과 끊임없이 진화하는 경쟁 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했다. 이노벤트는 가격 경쟁력, 현지 소비자 이해도 기반의 마케팅, 그리고 다각화된 유통 채널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해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더 나아가 2026년으로 예정된 세마글루타이드 특허 만료는 중국 내 제네릭 의약품의 출시를 촉진하며 시장 경쟁을 더욱 심화시킬 전망이다. 이러한 변화는 중국 환자들에게 더 많은 선택권과 합리적인 가격의 치료제를 제공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글로벌 제약 시장에서 중국 토종 기업의 약진은 이제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됐으며, 이는 전 세계 비만치료제 시장의 혁신과 경쟁을 더욱 가속화하는 중요한 동력으로 작용할 것이 기대된다.

당신이 좋아할만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