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시 당국은 이 현상을 질병으로 판단하고, 오히려 더 춤을 추게 하면 나을 것이라는 기이한 처방을 내려 사태를 더욱 악화시키는 오류를 범했다 ※AI 제작 이미지
1518년 스트라스부르 춤 전염병, 집단 심인성 질환으로 결론나
1518년 여름, 신성 로마 제국의 자유 제국 도시였던 스트라스부르(現 프랑스)에서 인류 역사상 가장 기괴한 사건 중 하나인 ‘춤 전염병(Dancing Plague)’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7월경 한 여성의 광적인 춤으로 시작해, 한 달여 만에 수백 명의 시민이 참여하는 대규모 현상으로 확산됐다. 기록에 따르면, 참여자들은 통제 불능 상태로 쉬지 않고 춤을 췄으며, 이로 인해 심장마비, 탈진, 뇌졸중 등으로 수많은 사망자가 발생했다.
당시 종교적 미신과 기근이 만연했던 시대적 배경 속에서, 사람들은 이 현상을 성 비투스(St. Vitus)의 저주 또는 초자연적인 전염병으로 해석했다. 심지어 지역 당국은 이 기이한 춤을 멈추기 위해 쉬는 공간 대신 광장과 무대를 마련해 춤을 ‘권장’하는 역설적인 조치를 취하기도 했다. 이러한 당국의 대응은 오히려 사태를 악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현대 역사학자들과 의학 전문가들은 이 1518년의 사건을 단순한 광기가 아닌, 극심한 스트레스와 공포가 신체적 증상으로 나타나는 ‘집단 심인성 질환(Mass Psychogenic Illness, MPI)’의 가장 극적인 사례로 분석했다. 특히, 사건 발생 직전 지역을 덮쳤던 기근과 질병, 사회적 불안정은 대규모 심리적 발작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된 것으로 밝혀졌다.

프라우 트로페아의 첫 춤과 통제 불능의 확산
1518년 7월, 스트라스부르의 한 거리에서 프라우 트로페아(Frau Troffea)라는 여성이 갑자기 격렬하게 춤을 추기 시작했다. 그녀는 며칠 동안 잠시도 멈추지 않고 춤을 계속했고, 이 이상한 행동은 일주일 안에 다른 30여 명의 시민들에게 전염됐다.
8월이 되자 춤추는 사람들의 수는 수백 명으로 불어났으며, 일부 기록에서는 최대 400명까지 참여했다고 전해진다. 이들은 스스로 멈출 수 없는 강박적인 움직임을 보였으며, 고통을 호소하면서도 춤을 멈추지 못했다.
뇌가 만드는 착각: 사과, 양파, 감자를 코 막고 먹으면 똑같다고?
당국의 기이한 대응: 쉬는 대신 춤을 권장하다
중세 시대 사람들은 이러한 현상을 ‘춤 마니아(choreomania)’라고 불렀으며, 성 비투스가 내린 초자연적인 저주 또는 고열에 의한 질병으로 간주했다. 당시 스트라스부르 시 당국은 의사들의 조언을 바탕으로 놀라운 결정을 내렸다. 이들은 환자들이 치료를 위해 쉬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대신, 이 ‘열병’을 춤으로 태워 없애야 한다고 판단했다.
당국은 아예 광장과 곡물 시장을 개방하고, 춤을 출 수 있는 전용 무대를 설치했으며, 전문 음악가들을 고용해 계속해서 반주를 제공했다. 이는 춤추는 사람들이 충분히 격렬하게 움직여서 춤의 ‘열기’를 소진하고 회복하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조치는 역효과를 낳았고, 구경꾼들의 호기심과 군중심리는 오히려 현상을 증폭시켰다. 계속되는 춤으로 인해 매일 수십 명의 사람들이 심각한 탈진 상태에 빠지거나 사망에 이르는 비극이 발생했다.

미스터리 해명: 에르고트 중독설 폐기, 집단 심인성 질환설 부상
춤 전염병의 원인을 두고 오랫동안 논쟁이 이어졌다. 초기에는 맥각균(Ergot, 호밀 등에 기생하는 곰팡이)에 중독되어 발생하는 ‘에르고트 중독설(Ergotism)’이 유력한 가설로 제시됐다. 맥각균 중독은 환각, 경련, 정신착란 등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의 역사 및 의학 연구(Tier 1-A)에 따르면, 에르고트 중독은 혈관을 수축시켜 극심한 고통과 함께 괴저를 유발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수백 명이 몇 달 동안 지속적으로 격렬한 춤을 추는 형태의 증상과는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 가설은 대부분 폐기됐다.
대신, 현대 의학계와 역사학계는 이를 ‘집단 심인성 질환(MPI)’ 또는 ‘집단 히스테리’의 가장 잘 기록된 사례로 확정했다. MPI는 개인이 겪는 극심한 심리적 스트레스와 공포가 집단적으로 공유되면서 신체적 증상(통제 불가능한 떨림, 경련 등)으로 발현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특히 당시 스트라스부르 지역은 심각한 기근, 굶주림, 천연두와 매독과 같은 질병 창궐, 그리고 종교개혁을 앞둔 사회적 격변기로 인해 극도의 불안 상태에 놓여 있었다. 이러한 환경이 심리적 도화선에 불을 붙여 대규모 발작을 일으키는 근본적인 배경이 됐다.
춤 전염병의 종식과 역사적 교훈
춤 전염병은 9월경에 이르러서야 점차 수그러들었다. 당국은 더 이상 춤을 권장하지 않고, 춤추는 사람들을 외딴 장소의 성소로 이송하여 치료와 기도를 병행하도록 했다. 의학적 치료보다는 심리적 안정과 종교적 위로가 이 병을 진정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사건이 종식된 후, 스트라스부르 지역 기록에 따르면 사망자 수가 구체적으로 명시되지는 않았으나, 역사학자들은 수십 명에서 100명 내외의 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한다.
1518년의 춤 전염병은 인류가 겪은 가장 충격적인 사회 심리적 현상 중 하나로 남아있다. 이 사건은 단지 흥미로운 역사적 일화가 아니라, 극심한 사회적 스트레스와 공포가 인간의 신체와 정신에 어떤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분석된다. 현대 사회에서도 전염병이나 대규모 재난 시기에 유사한 형태의 집단 심인성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역사적 기록은 여전히 중요한 교훈을 제공한다. 불안정한 환경에서 집단 심리가 어떤 파국을 초래할 수 있는지 경고하는 것이다.

당신이 좋아할만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