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폐렴 적정성 평가 결과, 최우수 등급인 1등급 의료기관은 전국 모든 권역에 분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사평가원)은 2023년(6차) 폐렴 적정성 평가 결과를 18일 공개했다. 전국 599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평가에서 전체 종합점수는 평균 82.9점을 기록했으며, 이 중 311곳(51.9%)이 최우수 등급인 1등급을 받았다. 이번 평가는 2023년 10월부터 2024년 3월까지 지역사회획득 폐렴으로 입원한 18세 이상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폐렴은 국내 사망원인 3위에 오를 만큼 치명적인 질환으로, 특히 노년층에게 더욱 위협적이다. 실제 이번 평가 대상 환자의 75.0%가 60세 이상 고령층이었으며, 80세 이상 초고령 환자 비중도 32.3%에 달했다. 80세 이상 환자 중 중증도를 보인 비율도 20.6%에 달해 고령층 폐렴 관리의 중요성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
평가 결과, 상급종합병원은 평균 99.2점의 높은 점수를 받은 반면, 병원급 의료기관은 66.8점에 그쳐 의료기관 규모별 편차가 극명하게 드러났다. 심사평가원은 환자들이 전국 어디서나 수준 높은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2014년부터 폐렴 적정성 평가를 시행해 그 결과를 공개하고 있다.

전체 병원 절반만 ‘최우수’… 병원 규모 따라 진료 수준 ‘극과 극’
이번 6차 폐렴 적정성 평가에서 종합점수에 따라 부여된 등급을 살펴보면, 전체 599개 평가 대상 의료기관 중 절반을 약간 넘는 311곳(51.9%)만이 1등급을 획득했다. 그 뒤를 이어 2등급 123곳(20.6%), 3등급 76곳(12.7%), 4등급 44곳(7.3%), 5등급 11곳(1.8%) 순으로 나타났다.
46개 상급종합병원은 평균 99.2점으로 거의 만점에 가까운 평가를 받았고, 304개 종합병원 역시 92.2점으로 우수한 성적을 보였다. 하지만 249개 병원급 의료기관의 평균 점수는 66.8점으로, 상급종합병원과 30점 이상의 큰 차이를 보였다.
실제로 1등급을 받은 311개 기관 중 상급종합병원은 46곳 전체가 포함된 반면, 병원급 의료기관은 39곳에 불과했다. 반대로 최하위인 5등급을 받은 11개 기관은 모두 병원급 의료기관이었다.
당신의 뇌를 조종하는 기생충? 상상 초월 기생충의 소름 돋는 비밀! 오늘 당신의 행동이 달라진 이유, 이것 때문이었다?
수도권은 ‘양호’, 강원·전라는 ‘분발 필요’… 지역별 1등급 병원 편차 뚜렷
최우수 등급인 1등급 의료기관은 전국 모든 권역에 분포하고 있어, 어느 지역에 거주하든 양질의 폐렴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반은 마련된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지역별로 1등급 기관의 분포 비율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전체 7개 평가 대상 기관 중 6곳(85.7%)이 1등급을 받아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서울특별시도 61개 기관 중 44곳(72.1%)이 1등급으로 평가받아 최상위권에 속했다. 경인 지역 역시 126곳 중 73곳(57.9%)이 1등급을 받아 비교적 양호한 분포를 보였다.
반면 강원특별자치도는 26개 기관 중 9곳(34.6%)만이 1등급을 획득해 전국에서 가장 낮은 비율을 기록했으며, 전라권(42.7%)과 경상권(49.2%)도 전체 평균(51.9%)에 미치지 못하는 결과를 보여 지역 간 의료 서비스 격차 해소를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층 폐렴 환자 급증, 80대 이상이 32%… 중증도 관리 중요성 대두
폐렴은 노인 인구가 많은 우리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건강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번 평가 대상 환자의 연령별 현황을 보면 이러한 현실이 수치로 증명된다. 전체 환자 4명 중 3명(75.0%)이 60세 이상이었으며, 특히 80세 이상 초고령 환자가 32.3%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더욱이 80세 이상 환자의 중증도를 분석한 결과, 중등도(44.5%)와 중증(20.6%) 환자의 비율이 경증(33.9%)보다 월등히 높아 고령층 폐렴의 위험성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심사평가원은 환자의 입원 및 치료 필요성을 판단하기 위해 CURB-65와 같은 객관적인 중증도 판정 도구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고령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
진단 정확성부터 신속한 항생제 투여까지… 핵심 지표 전반적 ‘개선’
이번 6차 평가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을 받았던 5차 평가 대신, 대상 환자 규모가 유사했던 4차 평가(2019년)와 비교 분석됐다. 평가에 사용된 5개 핵심 평가지표 모두 4차 평가 대비 결과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전반적인 폐렴 진료의 질이 개선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가장 큰 폭으로 개선된 지표는 ‘산소포화도검사 실시율’로, 4차 평가 81.9%에서 이번 6차 평가에서는 96.4%로 14.5%p나 상승했다. 환자의 중한 정도를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중증도 판정도구 사용률’ 역시 71.9%에서 83.6%로 11.7%p 향상됐다.
또한 폐렴의 원인균을 파악해 효과적인 항생제를 선택하는 데 중요한 ‘객담배양검사 처방률'(82.0%)과 ‘첫 항생제 투여 전 혈액배양검사 실시율'(95.0%)도 소폭 상승했다. 한편, 6차 평가부터 통합된 ‘병원 도착 8시간 이내 적합한 첫 항생제 투여율’은 93.2%를 기록했다.
우리 동네 1등급 폐렴 치료 병원 전체 목록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당신이 좋아할만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