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한방의료 이용 실태, 이용 수치는 낮아져, 한방의료 만족도는 높아져
30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4년 한방의료 이용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19세 이상 국민 10명 중 약 7명(67.3%)이 한방의료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2년 조사 당시 71.0%에서 3.7%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성별로 보면 여성(69.8%)이 남성(64.7%)보다 이용률이 높았으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이용 경험이 많았다. 60세 이상 연령층에서는 86.6%가 한방의료를 이용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만성 질환과 근골격계 질환 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방 의료기관을 찾는 환자들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한방의료 이용률은 증가했다. 2024년 조사에서 자녀의 한방의료 이용 경험은 11.7%로, 2022년(9.8%) 대비 1.9%포인트 상승했다.

이용 목적은 ‘질환 치료’, 치료 효과로 선택
국민들이 한방의료를 선택한 주요 이유는 ‘질환 치료’(93.9%)였다. 그중에서도 근골격계 질환(73.9%)이 가장 많았고, 염좌 및 손상(39.6%), 소화기 질환(8.7%) 등이 뒤를 이었다.
한방의료를 선택한 이유로는 치료 효과(42.5%)가 가장 많이 꼽혔으며, 질환에 맞는 진료(16.0%), 부작용이 적음(11.6%) 등의 이유도 있었다.
한방의료 이용자의 만족도는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2020년 74.5%였던 한방의료 이용 만족도는 2022년 76.6%로 증가했고, 2024년에는 79.5%에 도달했다. 특히 한방의료를 직접 경험한 외래환자의 만족도는 86.3%로 일반 국민보다 높았다.
한방의료 비용 부담 감소, 보험급여 확대 요구
한방의료 이용자들이 느끼는 비용 부담은 감소하는 추세다. 2022년에는 외래환자의 31.2%, 입원환자의 49.0%가 한방 치료비가 비싸다고 응답했지만, 2024년에는 각각 21.5%와 33.6%로 줄어들었다.
그러나 특정 치료법에 대한 비용 부담은 여전히 존재했다. 일반 국민과 외래환자는 ‘첩약’을 가장 비싸다고 생각했고(각각 70.9%, 58.5%), 입원환자는 ‘약침’(51.4%)을 가장 비싼 치료법으로 꼽았다. 이에 따라 한방의료 이용자들은 한방 치료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 확대를 가장 중요한 개선 과제로 지목했다.

의·한 협진 요구 증가, 국민 75.8% 한방의료 이용 의향
한방의료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조사 결과, 일반 국민의 75.8%가 필요할 때 한방의료를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78.4%는 한약 복용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특히, 한방의료 이용자들이 현대의학과 한방의 협진을 더욱 원하고 있었다. 외래환자의 50.1%, 입원환자의 43.0%가 동일한 증상으로 의료기관과 한방 의료기관을 모두 이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들은 한방과 현대의학이 원활하게 협진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보건복지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제5차 한의약 육성발전 종합계획(2026~2030)’을 수립할 계획이다. 또한, 첩약 건강보험 적용 시범사업과 의·한 협진 시범사업을 지속 추진하며, 한의약 건강돌봄 사업을 확대할 방침이다.

[추천기사]
의료기관의 블로그 및 SNS 활용, 법적 문제 없는지 점검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