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인슈타인의 중력 이론, 에딩턴의 관측으로 밝혀진 별빛의 휘어짐, 뉴턴 역학을 넘어서다
1919년 5월 29일, 한 천문 관측이 과학의 흐름을 바꾸었다.
영국의 천문학자 아서 에딩턴(Arthur Eddington)은 아프리카와 남미에서 개기일식을 관측하며 태양 주변을 지나가는 별빛이 휘어지는 현상을 확인한 것이다.
이 실험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의 일반상대성이론을 입증하는 결정적인 순간이었다.

과거 뉴턴 역학에 따르면 빛은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아인슈타인은 중력이 단순한 힘이 아니라 공간 자체를 휘게 만들며, 빛도 이 휘어진 공간을 따라 진행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에딩턴의 사진은 태양이 별빛을 휘게 만든다는 사실을 증명했고, 이로 인해 뉴턴 역학이 절대적이라는 믿음이 흔들리기 시작했다.
아인슈타인의 행복한 생각: 중력과 가속도의 동일성
아인슈타인이 중력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떠올린 것은 1907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는 “자유 낙하하는 사람은 자신의 무게를 느끼지 못할 것이다”라는 생각을 했다. 이는 가속도와 중력이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한다는 ‘등가원리(Equivalence Principle)’의 기초가 되었다.
만약 우주선이 우주에서 일정한 가속도를 유지한다면, 우주선 내부의 사람들은 마치 지구에서 중력을 느끼는 것처럼 발을 바닥에 붙이고 서 있을 것이다. 즉, 중력이란 별개의 힘이 아니라, 가속된 기준계에서 경험하는 효과일 뿐이라는 것이었다.
이 개념을 바탕으로 아인슈타인은 1915년 일반상대성이론을 완성했다.
그는 중력이 단순한 힘이 아니라, 질량이 공간을 휘게 만들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휘어진 공간을 따라 빛과 물체가 움직이는 방식이 우리가 중력으로 느끼는 현상이라는 점을 수학적으로 정리했다.

에딩턴의 개기일식 관측과 역사적 발견
아인슈타인의 이론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태양의 강한 중력이 주변 별빛을 휘게 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했다. 하지만 태양 빛이 너무 강해 별빛을 직접 관측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태양이 달에 완전히 가려지는 개기일식이 이상적인 실험 환경이 되었다.
1919년 5월 29일, 아서 에딩턴은 프린시페 섬(현재의 상투메 프린시페)과 브라질에서 개기일식을 촬영했다.

사진을 분석한 결과, 태양 근처를 지나가는 별빛이 예상보다 크게 휘어지는 것이 확인되었고, 이는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이 예측한 값과 일치했다.
이 연구 결과는 같은 해 11월 영국 왕립학회(Royal Society)에서 발표되었고, 세계적인 화제가 되었다.
신문들은 “뉴턴의 시대가 저물고 아인슈타인의 시대가 열렸다”고 보도했다. 이 사건은 아인슈타인을 단숨에 세계적인 명사로 만들었으며, 상대성이론을 대중에게 각인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중력은 공간의 휘어짐이다
에딩턴의 실험이 입증한 바와 같이, 중력은 단순한 인력이 아니라 시공간의 기하학적 구조에 따른 현상이다.
질량이 클수록 공간이 더 휘어지고, 그에 따라 빛조차 직진하지 못하고 휘어지게 된다. 이러한 개념은 뉴턴의 ‘만유인력’이 중력이란 단순한 힘이라는 설명과 근본적으로 차별된다.

아인슈타인의 이론은 이후 블랙홀, 중력파, GPS 시스템 등 현대 물리학과 기술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2015년, LIGO(레이저 간섭계 중력파 관측소)는 아인슈타인이 예측한 중력파를 직접 검출하는 데 성공하며, 그의 이론이 100년이 지난 후에도 여전히 유효함을 입증했다.
과학의 패러다임 전환
1919년 개기일식은 단순한 천문 현상이 아니라, 인류가 우주를 바라보는 방식을 바꾼 역사적인 순간이었다. 뉴턴 역학이 200년 이상 지배했던 과학계에서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것이다.
그의 이론은 단순한 과학적 발견이 아니라, 우주에 대한 인류의 이해를 근본적으로 바꾼 위대한 혁명이었다. 그리고 그 혁명의 시작에는, 1919년 개기일식과 에딩턴의 용기 있는 실험이 있었다.

[본 기사내용은 유튜브상 다른 유튜버 분들이 제작하신 유튜브 동영상 중 독자들이 관심을 갖을 만한 흥미로운 내용을 발췌, 요약, 정리한 내용임을 알려드립니다. 아래에 발췌한 유튜브 동영상을 올려드립니다.]
EBS 컬렉션 – 사이언스
[추천기사]
수술 후 이것도 가능할까? 수술 후 환자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생활 속 활동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