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정맥류 2년 방치했다가 피부괴사까지, 하지정맥류는 점진적으로 악화되는 만성질환
하지정맥류는 점진적으로 악화되는 질환으로, 초기 증상 완화에만 의존하다 보면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실제로 40대 남성 환자가 2년간 수술 치료를 미루고 압박스타킹과 약물 치료만 받다가 피부 괴사와 지속적인 출혈 상태까지 진행된 사례가 보고됐다.
민병원 김혁문 진료원장은 이런 상황에서 발거술을 통해 환자를 치료했다고 밝혔다. 그럼 하지정맥류를 언제, 어떻게 치료해야 하는지 자세히 알아보자.

2년 방치된 하지정맥류, 피부괴사까지 진행
40대 남성 환자가 2년 전 하지정맥류 진단을 받고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는 권고를 받았음에도 압박스타킹과 약물 치료만으로 경과를 지켜본 결과, 심각한 상태로 악화됐다.
해당 환자는 혈관이 심하게 튀어나온 상태를 넘어 피부 색조변화가 극심하게 나타났으며, 피부 괴사로 인한 지속적인 출혈까지 발생했다. 이런 중증 상태에서는 다른 치료 선택지가 없어 즉시 발거술을 시행했고, 수술 후 피부 출혈과 괴사 증상이 회복됐다고 김 원장은 설명했다.
하지정맥류는 점진적으로 악화되는 만성질환
하지정맥류는 1~2개월 사이에 급격히 악화되는 질환이 아니라 1년에서 수십 년에 걸쳐 장기적으로 진행되는 만성질환이다.
이런 특성 때문에 많은 환자들이 당장 증상이 있을 때만 압박스타킹을 착용하거나 혈액순환 보조제를 복용해 일시적으로 증상이 완화되면 치료를 미루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런 방식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이 되지 않으며, 결국 더 심각한 상태로 진행될 위험이 높다.

산소 부족으로 인한 허혈성 손상이 핵심 문제
하지정맥류가 있으면 산소가 부족한 혈액이 심장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다리에 정체되면서 허혈성 손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부위의 피부에는 염증이 생기기 시작하며, 이로 인해 하지정맥류가 있는 부위의 피부가 심하게 가려워진다. 지속적인 산소 부족 상태가 계속되면 피부 조직이 손상되면서 다양한 합병증이 나타나게 된다.
피부 색조변화에서 괴사까지 단계별 진행
하지정맥류로 인한 피부 손상은 단계적으로 진행된다. 초기에는 산소 부족으로 인해 피부 색조가 검게 변하는 색소변화가 나타난다.
색조변화 단계를 넘어서면 피부 조직이 괴사하기 시작하며, 이 과정에서 염증이 발생하고 피부 상태가 극도로 악화된다. 최종적으로는 피부가 완전히 죽어가면서 지속적인 출혈과 감염의 위험까지 초래할 수 있다.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면 선택지가 제한적
하지정맥류는 초기에 발견하면 다양한 치료 옵션을 선택할 수 있지만, 진행 정도가 심해질수록 치료 방법이 제한된다.
위 사례의 40대 남성처럼 피부 괴사와 지속적인 출혈까지 진행된 경우에는 발거술 외에 다른 치료적 선택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하지정맥류 진단을 받았다면 증상의 심각도와 상관없이 전문의와 상담해 적절한 치료 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기 진단과 시기적절한 치료가 핵심
하지정맥류는 방치할수록 치료가 어려워지고 합병증 위험이 높아지는 질환이다. 압박스타킹이나 약물 치료는 일시적인 증상 완화에는 도움이 되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따라서 하지정맥류 진단을 받았다면 전문의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개인의 상태에 맞는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시기를 놓치지 않고 치료받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본 기사는 다른 유튜버 분이 제작하신 유튜브 동영상을 참고·정리하여 기사화 하였습니다]
이런 하지정맥류 환자, 위험하다! (하지정맥류를 방치한다고?)
당신이 좋아할만한 기사
족보 때문에 의대생이 복귀 안 한다?…의협, 교육부의 ‘의대 교육혁신 지원사업’에 ‘족보론’ 일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