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25개 구 이름 유래와 역사 이야기, 구로구는 아홉 노인 전설 등에서 유래했구나…
서울에 구가 처음 설치된 것은 1943년이었고, 이때 일곱 개 구가 처음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시간이 흐르며 서울의 인구가 급속히 증가했고, 이에 따라 기존의 큰 구들에서 새로운 구들이 분리되었습니다.
각 구의 이름에는 그 지역의 지리적 특징, 역사적 사건, 또는 옛 지명 등이 담겨 있었습니다. 1943년 7개 구로 시작했던 서울이 1995년까지 25개 구로 늘어나는 과정에서, 각 구의 이름은 어떻게 결정되고 변화해왔을까요?

서울 구 이름의 시작, 최초 7개 구 이야기
1943년 서울에는 처음으로 7개 구가 설치되었습니다. 종로구는 도성문을 알리던 종각이 있는 운종가 거리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중구는 개항 후 일본인 거주지였던 남산 일대 본정(명동)을 중심으로 형성되며 도시의 중심을 뜻하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용산구는 말리재에서 청암동에 이르는 산줄기를 따라 과거 용산방이었던 곳으로, 일제가 군사기지를 만들고 시가지가 형성되며 불리기 시작했습니다. 동대문구와 서대문구는 각 문의 이름을 땄지만, 후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동대문은 종로구에, 서대문 터는 서대문구에서 벗어났습니다.
성동구는 한양 도성 동쪽에 있다 하여 붙여졌고, 영등포구는 서울에서 인천으로 가는 길목의 작은 나루터였던 영등포리에서 이름을 가져왔으며, 공업지대로 크게 성장했습니다.
10명 중 9명이 모르는 뇌혈관 질환 모야모야병, 당신의 뇌는 안전한가요?
확장과 분구 과정에서 탄생한 서울 구 이름들
인구 증가와 함께 서울이 확장되면서 기존의 큰 구들에서 새로운 구들이 분리되었습니다. 서대문구에서는 포구 이름을 딴 마포구와 조선 시대 방 이름을 합친 은평구가 분리되었습니다.
동대문구에서는 도성 북쪽을 뜻하는 성북구가 신설되었고, 성북구에서 도봉산 이름을 딴 도봉구, 갈대 우거진 들판에서 유래한 노원구, 멀리 한강 이름을 가져온 강북구가 나뉘었습니다.
중랑천 이름을 딴 중랑구도 동대문구에서 분리되었습니다. 영등포구에서는 관악산 이름을 딴 관악구, 참새와는 무관하고 변한 소리에서 유래한 동작구, 강 서쪽에 있다는 뜻의 강서구(실제 위치는 강남에 가까움), 옛 고을 이름을 가져온 양천구, 아홉 노인 전설 등에서 유래한 구로구, 옛 고을 이름인 금천을 다시 사용한 금천구가 분리되었습니다.

한강을 중심으로 나뉜 서울 구 이름과 그 배경
성동구는 한때 한강 북쪽과 남쪽을 모두 관할했지만, 강남 개발과 함께 1975년 강남 이남 지역이 분리되며 강남구가 신설되었습니다.
강남구는 한강 남쪽에 있다는 뜻으로 이름 붙여졌고, 이후 동쪽 지역이 가장 동쪽에 있다 하여 강동구로 분리되었습니다. 강동구에서 소나무 언덕 나루터 이름을 딴 송파구가 나뉘었습니다.
강남구에서는 서리풀 마을이라는 뜻의 서초동에서 이름을 가져온 서초구가 분리되었습니다. 성동구에서 분리된 광진구는 광나루를 한자로 표기한 이름으로, 과거 말을 키우던 목장이 있던 곳이었습니다.
이렇게 한강을 경계로 강남, 강동, 강서, 강북이라는 방향성을 가진 구들이 생겨났으며, 각 구의 이름은 그 지역의 역사, 지형, 혹은 옛 지명을 반영했습니다.

[본 기사는 다른 유튜버 분이 제작하신 유튜브 동영상을 참고·정리하여 기사화 하였습니다]
당신이 좋아할만한 기사
공룡이 변했다고? 당신이 몰랐던 날아다니는 새의 기원 5가지 충격 가설